UPDATED. 2024-04-25 18:57 (목)
"브렉시트는 예고된 이벤트…중장기적 대응 필요"
"브렉시트는 예고된 이벤트…중장기적 대응 필요"
  • 이지한 기자
  • 승인 2016.06.27 09: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임종룡, 브렉시트 관련 금융권역별 대응체계 점검회의 개최
"우리나라는 충분한 대응 능력 갖추고 있어"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금융감독원장, 금융협회장들과 함께 '브렉시트 관련 금융권역별 대응체계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임 위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브렉시트 국민투표와 관련하여,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 은행 외화유동성 상황, 금융권역별 대응방향 등을 논의하고 금융시장의 안정과 실물부문에 대한 차질없는 자금공급 등을 위해 각 금융협회별 당부 사항을 전달했다.

임 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글로벌 금융시장은 영국의 EU 잔류를 전망하고 구축했던 포지션을 정리하는 한편,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강화되면서 세계 각국의 주가‧국채금리‧환율 등이 큰 폭으로 변동하였다"고 전제하고 "우리 금융시장도 예상치 못한 브렉시트 투표결과로 인해 투자심리가 위축되는 등 크게 영향을 받았지만 국내증시 하락폭, 외국인 자금 순매도 규모, CDS 프리미엄 상승폭 등은 과거의 위기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고 말했다.

임 위원장은 사상 첫 EU 탈퇴인 브렉시트 이슈는 여타 EU 국가들의 탈퇴가능성 등 향후 전개과정에서 불확실성이 매우 크고 EU회원국 간의 이해관계 조정 등으로 협상과정 장기화되면서 금융시장의 변동성도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사안의 성격, 파급경로와 시차, 대응여건 등을 감안시 글로벌 금융시스템 위기로까지 급격히 확산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 이유에 대해 ▲브렉시트 자체는 미리 예고되어 있는 이벤트였다는 점 ▲브렉시트는 실제로 현실화 되는데까지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므로, ‘리먼 파산’으로 위기가 곧바로 발생한 ‘08년 위기상황과 다르다는 점 ▲현재 상황은 ‘08년 리먼 브라더스 파산, ’11년 미국 신용등급 강등 등 직접적인 금융시스템 훼손이나 자산가치 급변동을 유발했던 위기와는 성격이 다르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웬만한 대외여건 악화에는 쉽게 흔들리지 않을 수 있는 충분한 대응여력을 갖추고 있다"며 "다만, EU 추가 탈퇴, 과도한 실물부문 둔화 등 브렉시트 이후 새로운 균형으로 이행하기까지 다양한 변수들이 있고, 금융시장 변동이 추가로 확대될 가능성은 남아 있다"고 밝혔다.

임 위원장은 금융권에 대해 ▲투자자 심리 안정을 위해 노력해 줄 것과 ▲각 금융회사별로 외화유동성 상황을 철저하게 점검하고 리스크 완화를 위한 모든 방안을 적극 추진해줄 것 ▲금융권역별로 개별 금융회사의 건전성 관리에도 만전을 기해줄 것 ▲외화유동성, 건전성 확보 과정에서 지나친 여신 회수 등으로 기업 자금상황이 위축되거나 실물부문의 성장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세심하게 관리해줄 것 등을 당부했다.

이밖에 ▲저신용․저소득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 줄 것과 ▲각 금융권역‧금융회사별로 위험요인이 감지되거나, 시장안정을 위해 상호 협력해 줄 것 등을 당부했다.

끝으로 "투자자들은 현 시점에서 과도하게 불안해하거나 성급하게 행동 할 필요가 없으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우리 경제와 시장 상황을 냉정하게 분석하고 침착하게 대응해달라"고 당부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잔다리로3안길 46(서교동), 국세신문사
  • 대표전화 : 02-323-4145~9
  • 팩스 : 02-323-7451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예름
  • 법인명 : (주)국세신문사
  • 제호 : 日刊 NTN(일간NTN)
  • 등록번호 : 서울 아 01606
  • 등록일 : 2011-05-03
  • 발행일 : 2006-01-20
  • 발행인 : 이한구
  • 편집인 : 이한구
  • 日刊 NTN(일간NTN)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日刊 NTN(일간NTN) .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tn@intn.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