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16:13 (금)
[단독] ⓶롯데가 버린 ‘한국알림이’…'日 극우' 메신저로 둔갑하다
[단독] ⓶롯데가 버린 ‘한국알림이’…'日 극우' 메신저로 둔갑하다
  • 강경식 기자
  • 승인 2017.09.12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잊혀진 'ni-korea' 도메인 극우 메신저로 부활
졸속 위안부 협상에 악용

롯데그룹이 2010까지 운영했던 한류 소개 웹사이트가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일본 극우성향의 메신저 역할을 해 온 것으로 확인됐다. 그 결과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korea’가 포함된 도메인이 위안부 협상 당시 일본 극우익 측의 논리를 설명하는 창구로 악용됐다.

▲ 2016년 일본 극우홈페이지로 악용된 www.ni-korea.jp의 초기화면.<출처-web.archive.org>

'www.ni-korea.jp'  

2007년 롯데는 웹사이트 니코리아(www.ni-korea.jp) 서비스를 시작했다.

롯데는 니코리아를 일본인을 상대로 한류 컨텐츠와 연계한 한국관광을 소개하고자 제작됐다. 니코리아의 컨텐츠 서비스에는 외교부 산하 동경한국문화원과 조선일보도 동참했다.

컨텐츠가 풍성했기 때문에 니코리아는 당시 일본에서 널리 알려져 있었다. 한류와 한국에 관심있는 일본인들 사이에서 한국 관광 관련 정보를 얻는 대표적인 창구 역할을 감당했기 때문이다. 이를 반영하듯 아카이브에 남겨진 니코리아는 실시간 한국 뉴스와, 한국 관광 안내 및 한국의 날씨 등이 소개돼 있다.

실제로 국내 거주 14년차인 일본인 M(45세.여)씨는 "한류나 한국문화를 소개하는 웹사이트가 당시 꽤 많이 생겼었고 니코리아도 한국 뉴스나 여행을 준비할때 정보를 얻기 위한 곳으로 알려져 있었다"며 "연예인이나 드라마를 통해 본 한국의 숨은 명소를 소개하는 내용이 주로 있었다"라고 기억했다.

2010년 니코리아는 서비스를 종료했다. 서비스 종료는 니코리아의 아카이브, 그리고 롯데측 주장이 일치한다. 다만 서비스 종료 이유에 대해서 롯데 관계자는 이유를 설명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명박 전 대통령 취임 직후 급랭했던 한일 관계와 일본 우익의 혐한시위가 격해지면서 한류가 중국으로 이동했던 것을 고려할 때 더 이상 서비스 할 이유가 없어졌다는 추측은 가능하다.

서비스가 중단된 2010년 3월1일 이후 롯데가 운영했던 니코리아의 흔적은 찾아낼 수 없다. 그리고 독도 도발과 한일 위안부 합의가 이슈로 떠올랐던 2015년 4월 도메인 www.ni-korea.jp는 일본 극우의 주장을 담은 '일한문제를 살펴 보자(日韓問題を考えてみる)'라는 사이트로 부활했다.

같은 시기 한일 양국간 관계는 최악을 향해 치닫고 있었다. 과거사와 독도문제 통화스와프 등 감정과 현실을 오가는 다양한 문제가 연이어 터졌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를 비롯해 하시모토 도루(橋下徹) 전 오사카 시장, 아소 다로(麻生太郞) 전 부총리 겸 재무상 등은 다양한 망언을 계속해서 쏟아내며 양국간 관계를 악화시켰다.

한일 양국의 골이 깊어지자 오바마와 미국정부는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해 정의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미 국무부는 2015년 3월 “2차 세계대전 당시 성(性)을 목적으로 한 일본군의 여성 인신매매 행위는 끔찍하고 극악한 인권위반”이라고 비판한 데 이어 4월에는 “성(性)을 목적으로 여성을 매매한 행위(the trafficking of women for sexual purposes)"라고 규정했다.

이는 한일관계 유지를 위해 아베 정권에 무라야마(村山)·고노(河野)담화를 준수하라는 압력으로 비춰졌다. 그러나 일본 우익 인사들은 계속해서 망언을 이어나갔다.

도루 전 시장, 아소 다로 전 부총리를 비롯해 쏟아진 일본의 대표적인 극우 인사들의 망언은 공통점이 있다. '모든 전쟁에는 위안부가 존재했고 일본만의 문제는 아니며 전쟁의 책임이 없는 지금의 세대에게 또 다시 사과를 요구하지 말라'는 주장과 ‘동해 표기를 비롯한 독도문제의 자의적 해석의 수용을 교과서를 통해 후대에 주입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이러한 망언의 정점은 아베 총리의 종전 70년 담화가 찍었다. 2015년 아베 총리는 종전 70년 담화에서 "과거 전쟁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우리의 아들이나 손자, 그리고 다음 세대에게도 사죄의 숙명을 안겨주어서는 안 된다"라며 전후세대가 과거사와 관련 없다는 주장을 노골적으로 펼쳤다.

해당 문서에는 '일본의 역사를 연구한 세계 각국의 유명한 연구자들이 총출동해 견해를 밝힌 자료를 다른 것으로 해석한 한국의 태도를 보면 분명하다(日本の歴史を研究した世界各国の名だたる研究者たちが総出で見解を述べた資料に対して、内容が一字一句異なったものとして解釈した韓国の態度を見れば明らかであり)'며 '어디까지 가도 정당성이 보이지 않는 자기 본의의 것에 불과함을 (연구자들이)알아챘다(がどこまでいっても正当性が見られない自己本意なものでしかないと気づかれていった)'고 주장했다.문제의 '일한문제를 살펴 보자' 사이트 또한 이들과 같은 맥락의 주장을 펼친다. 전범세대와 전후세대를 구분해 책임을 한정하고 근거 없는 주장과 억지 논리를 사실인 듯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해 세계 각국의 유명한 연구자들이 총출동해 견해를 밝혔다는 자료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사이트 어디에서도 언급조차 없다.

해당 페이지는 이어 '한국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갖고 있는 일본 이외의 외국이 과연 얼마나 있는지를 헤아려 보면 전혀 없다고 생각한다(韓国に対して良いイメージを持っている日本以外の諸外国、果たしてどれだけいるのかと考えると、それは数えるような数字ではないと想像できてしまう)'고 비약했다.

또 ‘아무래도 악당 취급 하고싶은 한국(どうしても悪者にしたい韓国)’ 페이지에는 ‘한국정부가 주도적으로 위안부 성매매를 인정했으며 지금에 와서야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명예훼손도 서슴지 않았다.

'그(위안부) 소송 중에는 한국 정부가 당시 성매매를 알선했다는 주장이 있었다고도 했다(その提訴の中には韓国政府が当時、売春を斡旋していたとする主張があったとも述べている) 이것이 만일 사실이라면 한국의 위안부 문제 자체가 거짓말 같은 것으로 주장은 당연하게도 믿을 수 없는 것이 되버릴 수 있다(これがもし事実だとするなら、韓国のしてきた慰安婦問題そのものが虚言めいたものであり、主張は当然信用に足るものではないとなってしまいかねない)'며, '여성이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드는 것을 거론하는 한국이 매춘을 솔선해서 다녀온 것 등이 드러나면 지금까지 여성멸시를 해소하려는 움직임은 모두 허사가 되고 만다(女性が生きやすい社会を作ることを取り上げている韓国にとって、売春を率先して行ってきたなどと露見すれば、今までの女性蔑視を解消しようとする動きが全て無駄になってしまう)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도 일본을 농락하려는 것이 자신들의 목을 조른 것에 지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게 된다(慰安婦問題についても日本を翻弄しようとするはずが、自分たちの首を絞めただけに過ぎなかったと見られるようになってしまう)'는 근거 없는 억측도 나왔다.

이어 ‘심화하는 한국의 국정 상황(深刻化する韓国という国勢状況)’ 페이지는 ‘빈부 격차, 수출업 정체, 고용 문제, 청년 실업’ 등 당시 거론되던 사회문제들의 원인이 ‘과격한 반일 활동(過激な反日活動だった)’때문이라는 억지도 부렸다.

이 사이트는 이러한 반일활동의 역사적 기원에 대해서도 서술했다. ‘원래의 원인(そもそもの原因とは)’페이지는 ‘박근혜 전 대통령이 현재의 가혹한 반일 사상을 촉구한 장본인(そもそも現在の苛烈な反日思想を促したのも)’이라며 문세광 사건(文世光事件)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처럼 해당 사이트는 전범으로서의 일본의 사과나 입장 없이 거짓말과 억지로 엮은 국내 사건들을 묶어 정당성만 추구하는 논리로 가득 찼다. 또 주장을 뒷받침 할 근거는 단 한곳에서도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도 일관 되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잔다리로3안길 46(서교동), 국세신문사
  • 대표전화 : 02-323-4145~9
  • 팩스 : 02-323-7451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예름
  • 법인명 : (주)국세신문사
  • 제호 : 日刊 NTN(일간NTN)
  • 등록번호 : 서울 아 01606
  • 등록일 : 2011-05-03
  • 발행일 : 2006-01-20
  • 발행인 : 이한구
  • 편집인 : 이한구
  • 日刊 NTN(일간NTN)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日刊 NTN(일간NTN) .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tn@intn.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