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13:58 (금)
한국 밀레니얼 세대, 코로나19 정부대응에 ‘잘했다’ 합격점
한국 밀레니얼 세대, 코로나19 정부대응에 ‘잘했다’ 합격점
  • 이유리 기자
  • 승인 2020.06.29 11: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 또래 4명 중 3명은 코로나19 정부대응 ‘미흡’ 불만
코로나19 불확실성으로 2년내 이직 응답률은 52%→ 38%로 하락
딜로이트 글로벌, 2020 딜로이트 글로벌 밀레니얼 서베이 발표
경제, 사회·정치적 상황을 긍정적으로 전망한 밀레니얼·Z세대 비율/딜로이트 글로벌
경제, 사회·정치적 상황을 긍정적으로 전망한 밀레니얼·Z세대 비율/딜로이트 글로벌

한국의 밀레니얼세대는 세계 다른 나라의 또래보다 사회·정치적 상황에 대해 더 낙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레니얼세대 보다 하나 아래 세대인 한국의 Z세대 역시 코로나19를 거치면서 다소 비관적으로 변한 세계 다른 나라의 또래들과는 달리 낙관적으로 전망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딜로이트 글로벌이 코로나19 발생 전과 후로 밀레니얼세대와 Z세대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해 코로나 전후 이들의 생각의 변화를 분석했다. 

밀레니얼세대는 1983년 ~ 1994년 출생자, Z세대는 1995년 ~ 2002년 출생자를 이른다. 

1차 조사는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지난해 12월 43개국 1만8400명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2차 조사는 올해 초 13개국 9100명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딜로이트에 따르면 2019년 12월과 2020년 초에 실시한 1,2차 조사 결과 한국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는 경제, 사회·정치적 상황에 대해 글로벌 평균보다 더 낙관적으로 변했다. 

한국 밀레니얼 중 향후 경제를 낙관적으로 전망한 사람은 지난해 실시했던 2019 밀레니얼 서베이 시 13%에서 올해 26%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오히려 증가했으며, 사회·정치를 낙관적으로 전망한 비율은 13%에서 27%로 상승했다. 

Z세대에서 경제를 낙관적으로 전망한 비율은 지난해 14%에서 올해 25%로, 사회·정치를 낙관적으로 전망한 응답자 역시 12%에서 28%로 증가하면서 전체적인 ‘긍정’ 답변이 두 세대 모두 지난해 조사 대비 2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밀레니얼과 Z세대는 코로나19 위기를 거치면서 다소 비관적으로 변한 가운데, 조사 대상국 중 한국과 호주만이 긍정적으로 돌아섰다.

특히 한국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는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에 상당히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에 대한 정부 대응이 신속하게 이뤄졌는지에 대해서는 한국 밀레니얼의 69%가, Z세대의 66%가 ‘그렇다’고 대답해 50% 수준에 머문 글로벌 평균을 크게 앞질렀다. 

또한 한국의 밀레니얼과 Z세대는 ‘근로자들을 위한 정부의 조치가 적절했다’고 답변한 비율 역시 글로벌 평균보다 높아, 전반적으로 정부 대응에 큰 만족감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정부의 대응이 미흡했다는 의견이 가장 많은 나라는 일본으로, 일본 밀레니얼과 Z세대 4명 중 3명은 정부 대응이 신속하지 못했다고 답했으며, 3명 중 2명은 근로자들을 위한 조치도 미흡했다고 답했다. 

조사기간 중 코로나19 위기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밀레니얼과 Z세대의 스트레스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으며, 한국의 경우 글로벌 평균보다 큰 폭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말 ‘스트레스를 꾸준히 받는다’는 밀레니얼과 Z세대는 한국과 글로벌 평균이 50~51%로 동일한 수준이었지만, 올해 ‘스트레스를 꾸준히 받는다’고 답한 글로벌 밀레니얼은 42%인 반면 한국의 밀레니얼은 28%에 그쳤다. 

이에 대한 글로벌 Z세대의 답변은  44%로, 한국 Z세대는 27%로 하락했다.

이들의 스트레스가 감소한 주된 이유로는 재택근무, 환경개선, 삶의 여유가 꼽혔다.  

딜로이트 글로벌은 밀레니얼과 Z세대의 스트레스는 단기적으로 해소될 것으로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재정 문제로 스트레스가 증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특히 한국의 밀레니얼과 Z세대는 스트레스 주범으로 ‘미래 개인 재정 상황’과 ‘일자리 및 커리어 전망’을 꼽았다. 

이 부분에서 한국의 밀레니얼과 Z세대 간의 차이가 두드러졌는데, 밀레니얼은 코로나19를 거치면서 ‘미래 개인 재정 상황’을 스트레스 주 요인이라고 꼽은 비율이 지난해 47%에서 올해 44%로 소폭 감소한 반면, Z세대는 지난해 35%에서 올해 48%로 크게 높아졌다. 

딜로이트 글로벌은 직장인 비율이 높은 밀레니얼과는 달리 학생과 ‘취준생’이 많은 Z세대의 불안감을 보여주는 단면이라고 풀이했다. 

글로벌 또래들은 스트레스 주범으로 ‘미래 개인 재정 상황’과 ‘일자리 및 커리어 전망,’ ‘가족의 건강’을 거의 동일한 비율로 꼽았다.

한국 밀레니얼은 ‘개인 재정’ 면에서도 비관적으로 변한 글로벌 또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관적인 전망이 높았다. 

코로나19를 거치면서 향후 12개월 동안 재정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고 응답한 글로벌 밀레니얼은 9%p(39%→30%) 하락한 반면, 개선될 것이라고 응답한 한국 밀레니얼은 지난해 대비 2%p늘었다(23%→25%).

한편 한국의 밀레니얼과 Z세대는 코로나19를 겪으며 정부에 대한 신뢰도는 높아진 반면, 기업에 대한 인식은 1차 조사 대비 부정적으로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기에 ‘기업이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응답이 한국 밀레니얼과 Z세대 사이에서 각각 (45%→32%, 59%→44%큰 폭으로 떨어졌다. 

이에 대해서는 글로벌 밀레니얼(51%→41%) 및 글로벌 Z세대(52%→43%)와 비슷한 양상이다. 

특히 한국의 밀레니얼과 Z세대가  ‘직원들이 더 오래 남고 싶어하도록 기업이 적절한 조치를 취했다,’ ‘나와 동료들을 돕기 위한 기업의 대응 방식에 만족한다’ ‘기업이 이익 일부를 직원을 돕는데 썼다’  ‘팬데믹 기간 동안 직원을 돕기 위한 정책을 도입했다’  ‘기업이 직원의 정신건강을 챙겼다’ 는 항목에서 긍정인 답변이 글로벌 평균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밀레니얼과 Z세대는 글로벌 또래보다 직장 스트레스에 더 민감한 것으로 풀이된다. 

딜로이트 글로벌은 “전 세계 밀레니얼과 Z세대의 50% 이상이 직장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퇴사의 원인으로 생각한다”며 “앞으로 기업들은 직원들의 스트레스 관리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로 인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밀레니얼과 Z세대는 직장 충성도에서도 변화가 감지된다. 

‘2년 이내에 현 직장을 떠날 것’이라고 응답한 한국 밀레니얼은 지난해 52%에서 올해 38%로 크게 떨어졌다. 

조사에서 기업에 대한 불만이 커졌다고 나타났지만,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직업 안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라고 딜로이트 글로벌은 해석했다. 

반면 한국 밀레니얼 중 ‘5년 후에도 현 직장에 남을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 역시 지난해 32%에서  22%로 10%p 하락했다는 점은 이러한 불확실한 시대에 장기적 관점에서 조직에 충성도를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한 회의감이 커졌음을 방증한다는 것이다. 

한국 Z세대는 ‘2년 이내에 현 직장을 떠날 것’이라는 질문에 58%가, 그리고 ‘5년 후에도 남을 것’이라는 질문에는 13%가 ‘그렇다’고 답했다.

송한상 딜로이트 컨설팅 코리아 상무는 “한국의 밀레니얼과 Z세대는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정부와 국가 인프라·시스템에서 희망을 봤지만 기업들의 대응은 아직 미진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런 희망과 우려가 공존하는 상황에서, 우리 사회와 기업들은 불확실한 미래를 대비하고 불안을 느끼는 구성원을 품을 수 있는 조직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젊은이들도 미래에 대한 희망과 자신감을 바탕으로 커리어를 개발하고 창업 등의 도전을 통해 역동적인 경제 생태계를 만드는데 일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조사결과는 2020 딜로이트 글로벌 밀레니얼 서베이(The 2020 Deloitte Global Millennial Survey)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으면 보고서 전문은 딜로이트 홈페이지(www.deloitte.com/kr) 또는 페이스북(www.facebook.com/deloittekorea)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잔다리로3안길 46(서교동), 국세신문사
  • 대표전화 : 02-323-4145~9
  • 팩스 : 02-323-7451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예름
  • 법인명 : (주)국세신문사
  • 제호 : 日刊 NTN(일간NTN)
  • 등록번호 : 서울 아 01606
  • 등록일 : 2011-05-03
  • 발행일 : 2006-01-20
  • 발행인 : 이한구
  • 편집인 : 이한구
  • 日刊 NTN(일간NTN)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日刊 NTN(일간NTN) .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tn@intn.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