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3 18:00 (화)
23일 별세 전두환…비판속 공정거래법 제정 등은 긍정평가
23일 별세 전두환…비판속 공정거래법 제정 등은 긍정평가
  • 이유리 기자
  • 승인 2021.11.23 16: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저' 기반에 고도성장…-'저성장·고물가'→'고성장·저물가'로 전환
최저임금법·남녀고용평등법 제정…적대적 노사관계 생성 등은 비판
지난 8월 9일 전두환 씨가 공식 석상에 노출된 마지막 모습. 이날 광주에서 열린 항소심 재판에 출석한 전씨는 25분 만에 건강 이상을 호소하며 퇴청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8월 9일 전두환 씨가 공식 석상에 노출된 마지막 모습. 이날 광주에서 열린 항소심 재판에 출석한 전씨는 25분 만에 건강 이상을 호소하며 퇴청했다. /사진=연합뉴스

23일 서울 연희동 자택에서 숨진 전두환 전 대통령은 현대사의 비극을 썼다는 많은 비판을 받고 있지만 그가 대통령을 지낸 5공화국 기간 동안 공정거래법과 최저임금법이 제정되는 등 경제사회 복지제도의 기틀을 만들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1980년은 한국 경제가 대내외적으로 상당한 어려움을 겪던 시기였다.

제11·12대 대통령을 지낸 전두환 씨가 출범시킨 5공화국은 중화학공업 부문 중복투자를 조정하는 등 구조조정에 나서고 금리와 통화를 탄력적으로 조정하는 한편, 추곡수매가 인상률을 낮추는 등 물가 안정을 위한 전방위적 정책 집행에 나섰다.

 '성장'보다 '안정'에 중점을 둔 경제정책으로 1981년 21.4%에 달했던 물가 상승률은 1982년 7.2%, 1983년 3.4%, 1984년 2.3%로 안정세를 찾았다. 동시에 경제성장률은 1981년 7.2%, 1982년 8.3%, 1983년 13.4%로 상승세를 탔다.

1982년부터는 안정·능률·균형 기조의 경제·사회개발 5개년 계획을 진행하면서 수입자유화 정책, 중소기업 육성 정책 등을 펼쳤고 국민 경제교육에도 열을 올렸다.

1983년에는 물가 안정을 위해 다음 해 세출예산을 동결하는 강수를 두기도 했다.

전두환 정권이 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었던 데는 운도 따랐다. 1980년대 초중반 '3저(저금리·저유가·저달러) 호황'의 바람이 강하게 불었기 때문이다.

국제금리가 내려가면서 외환 문제가 해결됐고 유가 하락과 미국 달러화 가치 하락은 국내 물가 안정과 수출에 크게 기여했다.

이런 호재를 바탕으로 1986년에는 경상수지가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했다. 3% 수준의 안정적 물가 상승률과 10% 안팎의 높은 경제성장률도 계속됐다.

정권 후반기인 1987년부터는 공기업 방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민영화를 추진해 증권거래소, 외환은행 등의 지분을 완전히 매각했다.

5공화국 때 전 국민 의료보험 정착의 기틀도 마련됐다. 최저임금법 제정으로 최저임금제도가 도입됐으며 남녀고용평등법도 만들어졌다.

공정거래법이 제정되고 공정거래위원회가 설립된 것도 5공화국 때다.

취임 당시 '저성장, 고물가'의 위기에 놓였던 한국 경제를 집권 시기 '고성장, 저물가'로 바꿔놓고 각종 경제·사회복지 제도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서 5공 정권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그러나 3저 호황이 이어지면서 과소비와 투기 등의 현상이 서서히 심화했고, 이렇게 내재해있던 경제 불안 요인들을 제대로 정리하지 못한 탓에 다음 정권인 6공화국 때 이런 불안 요인이 현실화하면서 경제를 휘청이게 했다는 지적도 있다.

수입자유화를 진행하면서도 '완충장치'를 제대로 마련하지 않아 국내 산업이 위기를 겪게 했고, 산별노조를 기업별노조로 바꾸면서 뿌리 깊은 적대적 노사관계의 부작용을 낳았다는 비판도 나온다.

물가와 국민 경제 안정을 이룬 업적은 전 씨 개인의 부정 축재로 더욱 빛이 바랬다.

1997년 특별수사본부 수사 결과 전 씨는 재임 중 정경유착을 통해 재벌기업으로부터 받은 돈으로 7000억원대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드러났고, 추징금 2205억원은 사망할 때까지 완납하지 않았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잔다리로3안길 46(서교동), 국세신문사
  • 대표전화 : 02-323-4145~9
  • 팩스 : 02-323-7451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예름
  • 법인명 : (주)국세신문사
  • 제호 : 日刊 NTN(일간NTN)
  • 등록번호 : 서울 아 01606
  • 등록일 : 2011-05-03
  • 발행일 : 2006-01-20
  • 발행인 : 이한구
  • 편집인 : 이한구
  • 日刊 NTN(일간NTN)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日刊 NTN(일간NTN) .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tn@intn.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