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택시 면허발급에 국가유공자를 택시경력보다 우선 등 지적

서울시와 부산시 인천시 등 161개 광역 기초자치단체가 지자체 고문변호사나 변리사를 위촉할 때 지역내 연고를 둔 사람을 우대하고 개인택시 면허를 발급할 때 택시운전경력 보다 국가유공자를 우선순위에 두는 등 경쟁을 제한하는 조례나 규칙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가 한국규제학회에 의뢰해 파악한 ‘지방자치단체의 경쟁제한적 조레 규칙 등에 대한 운영실태’에 따르면 경쟁제한적 조례·규칙은 광역자치단체 236건(35.1%), 기초자치단체 436건(64.9%) 등 총 672건으로 나타났다.
규제유형별로는 진입제한이 270건(40.2%), 사업자차별 316건(47.0%), 사업활동제한 21건(3.1%) 순이었다.
특정 자치단체가 역내사업자 우대 등의 조례·규칙을 만들면 인근 지자체들이 이를 모방해 자기지역 사업자 우대를 위한 유사규정을 도입함으로써 지역제한이 전국적인 양상으로 확산되는 특징을 보였다.
가령 의무구매조항 등 종전에 장애인이나 영세소상공인 등 최소범위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호조항이 노인, 청년, 국가유공자, 사회적기업, 향토기업 보호 등 여타의 공익목적으로도 계속 확산되는 패턴이다.
경쟁제한적 조례와 규칙의 주요 내용을 살펴 보면 지자체 고문변호사에 지연연고를 우대하고 개인택시 면허발급에 국가유공자를 택시운전경력 보다 우선 순위에 두는 사례 외에도 다양했다.
대전시, 광주시, 울산시 등 165개 광역·기초자치단체는 학교급식에서 지역의 농수산물을 우선 구매토록 하거나, 지자체에서 향토기업의 범위를 정하고 선정한 향토기업을 지자체의 예산으로 우선 지원토록 하는 등의 조례·규칙을 운영하고 있다.
경기도와 충북 청주시, 강원 원주시 등 21개 광역·기초자치단체는 지역건설협회로 하여금 과당경쟁을 방지하는 노력을 하도록 하거나 플랫폼 노동자를 위한 모범거래 기준을 개발·보급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조례·규칙을 운영중이다.
공정위는 이번에 발굴한 경쟁제한적 조례·규칙은 2022년에서 2024년까지 앞으로 3년간 관련 지자체와 협업해 지속적으로 개선할 방침이다.
이정호 공정위 경쟁제한규제개혁작업단 팀장은 “특히 건설분야·전문자격사 분야 등 근거법령에서 지역제한근거가 없음에도 지자체규정으로 지역제한을 두는 경우 인근 지자체도 자기 지역사업자 보호에 나설 수밖에 없게 된다”면서 “경쟁시장을 협소한 지역시장으로 파편화하는 문제가 있어 기업의 수익활동 기반을 넓히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