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내부인사로는 윤태식 세제실장·한훈 차관보 거론
2차관 후보는 최상대 예산실장·조규홍 전문위원으로 압축
윤석열 정부의 초대 경제사령탑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후보자로 추경호 의원이 최종 낙점되면서 추 후보자와 함께 기재부를 이끌 1차관과 2차관 인선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1일 관가에서는 거시경제 야전사령관 격인 기재부 1차관 후보군으로 윤태식(행정고시 36회) 기재부 세제실장과 한훈(35회) 차관보, 방기선(34회) 아시아개발은행(ADB) 상임이사, 이형일(36회) 청와대 경제정책비서관, 이찬우(31회) 금융감독원 기획·보험담당 부원장 등 전·현직 관료들 6~7명이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이중 행시 36회인 이형일 청와대 경제정책비서관이 기획재정부 안팎에서 가장 유력한 1차관 후보로 언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비서관은 기재부에서 종합정책과장과 경제정책국장, 차관보 등을 거친 정통 경제정책통으로 실력이나 커리어로 보면 거시경제를 총괄하는 차기 1차관 후보로 손색이 없다는 평가다.
경제부총리로 지명된 추 후보자와 인연이 각별한 점도 플러스 요인이다. 추 후보자가 기재부 1차관을 맡을 당시 이 비서관이 경제분석과장으로 재직하는 등 두 사람은 오랜 기간 손발을 맞췄다.
그러나 현재 문재인 정부의 비서관이라는 점이 윤석열 정부 첫 기재부 1차관 인선에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현직 기재부 관료 중에선 윤태식 세제실장(36회)이 우선 거론된다. 윤 실장은 국제금융라인으로 대변인과 정책조정국장에 이어 세제까지 폭넓은 경험을 쌓아 시야가 넓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훈 기재부 차관보는 거시경제와 정책조정 등 기재 1차관의 주요 정책 영역을 현재 담당하고 있어 업무 연속성 측면에서 후보자군으로 꼽히고 있다. 경제예산심의관으로서 소상공인 손실보상 등 이슈도 다룬 바 있다.
아울러 일각에서는 이찬우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31회), 방기선 아시아개발은행(ADB) 상임이사(34회) 등 차관보를 마지막으로 기재부를 떠난 두 사람도 복귀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이들은 경제정책통으로 경력은 충분하지만 친 박근혜 정부 인사로 분류돼 문재인 정부 시절 인사상 불이익을 받았다는 점이 윤석열 정부에서 훈장이 될 수 있다는 평이다.
예산과 재정을 총괄하는 2차관 후보군은 최상대 기재부 예산실장(34회)과 조규홍 인수위 경제1분과 전문위원(32회) 등으로 좁혀지는 분위기다.
600조원 상당의 정부 예산과 재정 등 나라살림을 책임지는 기재부 2차관은 기본적으로 예산실장이 승진 기용되는 것이 관례다.
기재부 예산총괄심의관이 예산실장으로, 예산실장이 기재부 2차관으로 가는 경우가 일반적인 승진코스인 점을 고려하면 기재부에서는 최 실장을 유력한 2차관 후보로 꼽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정권교체기에는 이같은 관례가 깨지고 전직 예산·재정 관료가 2차관으로 등용되는 사례가 있었기 때문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선 캠프와 인수위에 참여한 조 전문위원도 2차관 후보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최상대 실장은 예산총괄심의관·예산실장으로 재직하면서 코로나19 경제위기 극복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는다.
정권이 교체되는 경우엔 전직 예산·재정 관료가 2차관으로 등용되는 사례가 간혹 있었다.
이번에도 이런 사례가 적용된다면 조규홍 인수위 전문위원이 유력 후보가 된다.
조 전문위원은 기재부 예산총괄과장과 경제예산심의관, 재정관리관 등을 거친 예산과 재정 전문가이다.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이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인수위에서 지출구조조정 등 예산 관련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1차관과 2차관 인선에서 현직이 아닌 전직 인사가 발탁될 경우, 행시 기수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기재부 내부에서는 기수가 높은 소위 올드보이가 차관으로 기재부에 복귀하게 되면 인사적체 문제가 심각해 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