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아파트의 평균 전세보증금이 도시 근로자 가구의 5.7년(약 5년8개월)치 소득과 맞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수도권 아파트 전세금은 4.1년치, 전국은 3.3년치의 소득에 해당되면서 소득 대비 전세금 부담이 모두 최근 10년 사이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24일 부동산114가 작년 12월 말 현재 전국 아파트 707만여 가구의 전세금과 통계청의 지난해 도시근로자 가구(2인 이상 기준) 소득을 비교한 결과, 서울은 작년말 평균 전세가격이 3억1265만원으로, 지난해 도시근로자 가구 연간 소득(5527만원)의 5.66배에 달했다.
소득에 대한 서울 시내 아파트의 전세가 배율(PIR)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이 큰 2008년에는 4.12배에 그쳤으나 2011년 5.28배까지 상승하다가 2012년 5.15배로 다소 완화된 뒤 지난해 다시 급등했다.
이로써 분석 대상 기간인 최근 10년(2004∼2013년)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세금 상승폭이 소득 증가세보다 컸기 때문으로 작년말 현재 서울시내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는 1년 전(2억7767만원)보다 12.6%나 올랐다.
2004년 말(1억5432만원)의 전세가는 현재의 절반 수준이었다.
다른 지역도 비슷한 추세를 보여 지난해 소득 대비 전세금 배율은 수도권과 전국 모두 최근 10년 사이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수도권은 4.05배, 전국은 3.25배다.
서울 시내 주요 구별로는 서초 9.74배, 강남 9.08배, 송파 7.84배, 용산 7.71배 등 순으로 높았고 그나마 평균 전세가가 낮은 지역인 노원(3.43배), 도봉(3.47배) 등도 3배를 훌쩍 뛰어넘었다.
수요가 많은 공급 면적 99∼132㎡미만(30평형대) 크기 아파트는 서울이 5.87배, 수도권이 4.35배, 전국이 3.63배였다.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의 최성헌 차장은 "집주인들이 월세를 선호하면서 서울을 중심으로 전세 공급물량이 부족해 전세가가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는 만큼 당분간 더 도시 근로자의 부담이 커질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