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6 12:00 (화)
“255조원 세계 바이오 제약시장 선점하라”
“255조원 세계 바이오 제약시장 선점하라”
  • 정영철 기자
  • 승인 2014.06.19 10: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 LG 한화 SK 등 4대그룹 투자액 확대 ‘불꽃경쟁’

 한국대기업들이 IT산업의 성장은 한계에 이렀다고 판단, 신 성장산업으로 ‘바이오 제약’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전문가들은 바이오 의약품 세계시장을 2020년까지 255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선 삼성·LG·한화·SK가 바이오 제약사업에 투자액을 늘리고 있다. 이들 대기업에서 어떤 신약에 투자는 얼마나 하고 있는지 짚어 봤다.
 
한화그룹 계열사 한화케미칼은 류머티즘 관절염 치료제 '엔브렐' 복제약에 대한 임상시험 및 준비를 마치고 이달 말 식약처에 시판(市販) 허가를 신청할 것으로 확인됐다. 다국적 제약사 암젠이 개발한 엔브렐은 세계 10대 의약품 중 하나로 이 제품의 시장 규모만 9조원에 달한다. 한화케미칼은 올해 안으로 판매 허가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화가 승인을 받으면 국내 기업 중 처음 엔브렐 복제약 개발에 성공하게 된다.
 
엔브렐 복제약은 삼성그룹과 LG그룹도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삼성그룹의 바이오 계열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 관계자는 "현재 진행 중인 임상시험이 끝나면 2016년쯤 제품을 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LG그룹에선 LG생명과학이 이 제품의 임상시험을 맡고 있다.
 
대기업들이 바이오 제약 사업에서 '성공 신화(神話)'를 만들기 위해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 기존 제약사 수준을 넘어 삼성·SK·LG·한화 등 10대 대기업이 바이오 제약 부문을 신성장동력으로 키우기 위해 그룹 차원에서 야심 찬 투자에 나선 것이다.
 
이성용 베인앤컴퍼니 서울사무소 대표는 "반도체·디스플레이·스마트폰 이후 이렇다 할 새 성장동력을 못 찾던 한국 기업들이 바이오 제약을 '제2 도약'을 위한 유력 후보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 대기업들이 이 부문에 사력(社力)을 쏟는 이유는 세 가지다. 먼저 높은 성장성이다. 글로벌 제약 시장 조사기관 'IMS헬스'는 "바이오 의약품 세계 시장 규모가 2010년 1380억달러(약 140조원)에서 2020년 2530억달러(약 255조원)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마트폰·조선(造船)·철강·자동차 같은 업종이 사실상 포화 상태에 이른 상태에서 바이오 분야는 고령화·웰빙 등에 힘입어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는 유망 성장 업종이라는 것이다.
 
대기업이 바이오 제약 개발에 열을 올리는 이유 중 하나는 IT를 바이오 사업에 접목시켜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
 
삼성그룹은 차세대 주력 5대 신성장 사업 가운데 바이오산업을 공식 포함시켜 놓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달 5일 삼성전자로부터 104억원대의 바이오 의약품 관련 기술 자산을 넘겨받았다. 삼성전자와 삼성에버랜드는 내년 8월까지 삼성바이오로직스에 6000억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LG생명과학은 지난해 총매출의 20% 정도인 750억원을 R&D에 투자한 데 이어 올해는 8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항암·통풍·심근경색 치료제 등 신약 개발과 바이오 의약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LG생명과학은 3대 핵심 사업인 대사질환 치료제, 바이오 의약품, 백신 분야에 연구개발 역량과 자원을 쏟는 한편, 임상 1상시험을 진행 중인 항혈전 신약과 세포 보호제의 개발 등 새로운 혁신 신약 개발도 가속화한다는 전략이다.
 
2007년부터 바이오 의약품 개발에 착수한 한화케미칼은 엔브렐 복제약 외에 유방암·대장암 등 항암제 분야의 바이오 복제약도 병행 개발 중이다.
 
SK그룹도 바이오 제약 분야에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SK케미칼은 세포 배양 백신과 바이오 신약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올 3월에는 글로벌 제약사 사노피 파스퇴르와 차세대 폐렴구균 백신 공동 개발 및 판매를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한국기업이 바이오 신약개발에 성공한다 해도 넘어야 할 고비가 많다. 한국 기업들은 신약이나 복제약을 만들어 직접 세계 각국의 병원에 납품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미 세계 시장을 장악한 로슈·노바티스·머머크·화이자 같은 글로벌 제약사들의 탄탄한 네트워크와 마케팅 파워를 넘어서기가 매우 힘들기 때문에 판매는 이들 다국적 제약사에 맡겨야 한다. 위탁판매가 되면 그만큼 수익성이 약화될 수 있는 문제를 안고 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잔다리로3안길 46(서교동), 국세신문사
  • 대표전화 : 02-323-4145~9
  • 팩스 : 02-323-7451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예름
  • 법인명 : (주)국세신문사
  • 제호 : 日刊 NTN(일간NTN)
  • 등록번호 : 서울 아 01606
  • 등록일 : 2011-05-03
  • 발행일 : 2006-01-20
  • 발행인 : 이한구
  • 편집인 : 이한구
  • 日刊 NTN(일간NTN)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日刊 NTN(일간NTN) .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tn@intn.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