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18:11 (금)
올 주요 경제지표 '마이너스·사상최저' 쏟아질 듯
올 주요 경제지표 '마이너스·사상최저' 쏟아질 듯
  • 日刊 NTN
  • 승인 2015.11.29 06: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제성장률 2%대…1인당 국민소득 '뒷걸음질' 유력
유가하락 효과로 소비자물가상승률 '사상최저' 전망

대내외적인 악재들이 겹친 여파로 한 달을 남겨둔 2015년의 주요 경제지표는 전반적으로 저조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성장률은 2년 만에 다시 2%대로 주저앉을 것이 거의 기정사실이 됐다.

유가 하락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사상 최저치를 찍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전 최저치는 외환위기 당시였다.

세계 경기 성장세 둔화로 수출입이 모두 부진해 최근 4년 연속 달성한 교역액 1조 달러는 올해 사실상 물건너 갔다.

◇ 2년 만에 다시 2%대 저성장 복귀 유력

올해 경제성장률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충격과 중국 경제 성장 둔화 여파로 2%대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올해 분기별 전기 대비 성장률(전기비)은 1분기 0.8%, 2분기 0.3%, 3분기 1.2%다.

메르스 후유증이 가장 컸던 2분기 성장률이 극히 낮고 3분기 성장률은 비교적 높았다.

연간 전체로 3%대를 기록하려면 4분기 성장률이 3분기보다 높아야 한다.

하지만 3분기 성장률이 비교적 높게 나와 그럴 가능성은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예상이다.

한국은행(2.7%), LG경제연구원(2.6%), 현대경제연구원(2.4%), 한국금연구원(2.6%) 등 주요 국내 기관은 올해 성장률을 2%대로 전망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의 전망치는 2.7%다.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국회 답변 과정에서 "올해 정부 목표인 3.1% 달성을 위해 노력하겠지만 하방(내려갈) 리스크가 있다"고 말했다.

올해 경제성장률 3% 달성에 실패하면 2.8%를 기록한 2013년 이후 2년 만에 다시 2%대의 저성장 시대로 돌아가는 것이다.

지난해 성장률은 3.3%였다. ◇ 소비자물가 상승률 사상 최저 전망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사상 최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올해 1월부터 지난 10월까지 소비자물가지수는 0.6% 올랐다.

남은 기간 물가 상승폭이 확대되더라도 올해 연간 상승률은 0.7%에 그칠 것으로 한국은행은 전망하고 있다.

이런 물가상승률은 역대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금까지는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의 0.8%가 최저치였다.

국제유가 하락과 경기 부진이 겹친 점이 올해 0%대 물가의 주된 원인이다.

연초부터 2500원에서 4500원으로 오른 담뱃값이 올해 소비자물가를 0.58%포인트 끌어올렸지만, 유가 하락 효과가 이보다 훨씬 컸다.

◇ 취업자 수 증가폭 30만명대 중반 전망

올해 전체 취업자 수는 지난해보다 30만명 중반대 정도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작년 증가폭인 53만3천명에 비교하면 20만 명가량 줄어드는 셈이다.

월별 고용동향을 보면 올 들어 10월까지 전년 동월 대비 취업자 수 증가폭은 최다 37만∼38만명 선에 그쳤고, 4월(21만6천명)과 8월(25만6천명)에는 20만 명대로 떨어지기도 했다.

정부는 지난 9월 올해 취업자가 40만명 늘 것으로 봤지만 다른 기관들은 이보다는 적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통틀어 작년보다 일자리가 30만명 중반대 정도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은행(33만명), LG경제연구원(30만4천명), 현대경제연구원(33만5천명), 한국경제연구원(30만1천명) 등 국내 기관은 30만명 초중반대로 예측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국제통화기금(IMF)은 37만명으로 예상했다.

실업률은 3.5∼3.7%대에 예측이 몰려 있다.

작년(3.5%)보다는 소폭 상승할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정부와 KDI는 각각 3.5%, 3.6%를 전망했고 한은·OECD·IMF·LG경제연구원·현대경제연구원·한국경제연구원은 모두 3.7% 전망치를 내놨다.

◇ 1인당 국민소득 6년 만에 감소할 듯…10년째 3만 달러 벽 앞에서 '맴맴'

1인당 국민소득(GDP)은 작년보다 오히려 줄어들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최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에서 AA-로 한 단계 상향조정하면서 1인당 국민소득이 올해 2만7천 달러에 머물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의 2만80101달러보다 떨어진다는 얘기다.

국내에서도 비슷한 분석이 나온다.

LG경제연구원은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이 2만7100달러로, 작년보다 1천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민소득 감소는 금융이기 이후 6년 만의 일이다.

한국의 1인당 GDP는 2008년 2만3102달러로 전년에 비해 줄었고, 이어 2009년에도 1만8337달러로 2년 연속 감소한 바 있다.

2만 달러대에 처음 올라선 것은 2006년이지만, 올해로 10년째 3만 달러 장벽 앞에서 맴돌게 된 셈이다.

◇ 수출 3년 만에 마이너스…연간 교역액 1조 달러 행진 마감할 듯

수출은 올해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수출 증가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게 되면 2012년(-1.3%) 이후 3년 만이다.

올해 수출은 1년 내내 고전을 면치 못했다. 10월까지 월별 수출 증가율은 전년 기대비 모두 마이너스였다. 특히 10월에는 -15.8%로 감소폭이 가장 컸다.

국제유가 급락으로 단가가 떨어진 점이 수출을 어렵게 했다. 세계 경기, 특히 수출 의존도가 높은 중국의 경제 성장이 둔화한 점도 수출을 제약했다.

수출(통관 기준) 증가율 전망치를 보면 KDI는 -8.7%, 한국은행은 -6.4%다. LG경제연구원(-6.3%)과 현대경제연구원(-6.2%)도 마이너스다.

연간 1조 달러 교역시대는 5년 만에 막을 내릴 가능성이 크다.

올해 10월까지 교역액은 8078억 달러다. 작년 같은 기간(9169억달러)보다 11.9% 감소했다. 11∼12월 두 달간 수출입 실적을 2천억 달러가량 올려야 1조 달러를 달성할 수 있지만 가능성이 크지 않다.

연간 교역액은 2011년부터 4년 연속 1조 달러를 웃돌았다.

◇ 소비 4년 연속 1%대 증가에 그칠 듯

메르스 충격과 가계부채 급증 등으로 소비 증가세는 1%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올 1분기에 0.6%에 그친 민간소비 증가율(전기비)은 5월 말부터 갑자기 확산한 메르스 충격으로 2분기에 0.2% 감소했다.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고 개별소비세 인하, 8월 임시공휴일 지정, 코리아 그랜드세일 등의 정책적 노력을 기울인 영향으로 3분기 민간소비 증가율은 1.1%를 겨우 회복했다.

그러나 가계부채 급증세에 노후불안 요소가 여전하고 기업의 수익성 악화로 임금이 상승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지갑이 잘 열리지 않는 모양새다.

한국은행과 현대경제연구원은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을 각각 1.8%로 예상했다. LG경제연구원은 그보다 소폭 낮은 1.7%로 전망하고 있다.

전망대로 1%대 성장에 그치면 민간소비는 2012년 이후 4년 연속 1%대 성장에 머물게 된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잔다리로3안길 46(서교동), 국세신문사
  • 대표전화 : 02-323-4145~9
  • 팩스 : 02-323-7451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예름
  • 법인명 : (주)국세신문사
  • 제호 : 日刊 NTN(일간NTN)
  • 등록번호 : 서울 아 01606
  • 등록일 : 2011-05-03
  • 발행일 : 2006-01-20
  • 발행인 : 이한구
  • 편집인 : 이한구
  • 日刊 NTN(일간NTN)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日刊 NTN(일간NTN) .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tn@intn.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