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17:10 (목)
소금 이어 설탕도 잡는다…정부 '당류 줄이기' 대책 시동
소금 이어 설탕도 잡는다…정부 '당류 줄이기' 대책 시동
  • 연합뉴스
  • 승인 2016.03.20 08: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설탕 적어도 맛있는 음식 '레시피' 보급…대국민 캠페인 전개
당류 섭취 증가세·어릴수록 섭취비율 높아…"英처럼 비만세 도입 계획은 없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비만과 당뇨의 주범으로 꼽히는 당류의 섭취를 줄일 국가 차원의 대책을 내놓는다.

당류 섭취량이 아직은 적정 섭취 범위 안에 들어있기는 하지만, 아동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섭취량이 늘어서 장차 국민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도 있다는 판단에서다.

식약처는 "이달 안에 당류 저감 목표와 저감 대상 식품을 선정하고 표시 방법 등을 홍보하는 내용을 담은 제1차 당류 저감 종합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20일 밝혔다.

식약처는 이를 위해 유관부처, 산업체, 소비자단체 등으로 구성된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종합대책에는 우선 당류 과다 섭취에 대한 캠페인을 펼쳐 국민의 인식 전환을 돕는 방안을 담을 계획이다.

과일 등 자연식품에는 당류뿐 아니라 식이섬유, 비타민 등이 많이 들어있는 만큼 섭취량을 줄일 필요는 없지만 조리 음식이나 가공식품에 사용되는 첨가당(대체감미료)은 섭취량을 줄일 여지가 많다.

식약처는 조리사 등 전문가와 함께 당류를 조금만 넣어도 음식의 맛이 살 수 있는 레시피(조리법)나 단 맛을 내는 대체 재료를 사용하는 방법을 개발해 식당과 가정에 보급할 계획이다.

최근 일부 방송 프로그램에서 설탕을 많이 쓰는 조리 방식을 두고 논란이 일기도 했는데, 당류를 덜 사용하고도 맛은 살리는 조리법을 찾아 알리겠다는 것이다.

또 커피, 과자, 가공식품, 음료 등에 들어있는 당류의 양 표시를 더 명확하게 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당류를 줄이면서 비슷한 맛이 나게 하는 저감화 성분과 기술도 개발해 보급할 예정이다.

종합대책에는 최근 영국이 도입 계획을 밝힌 '비만세'(설탕세)와 관련된 내용은 포함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식약처 관계자는 "미국이나 영국처럼 비만이 야기하는 사회적 문제의 정도가 크지는 않은 상황"이라며 "당류가 들어있는 식품에 세금을 매기는 방식의 규제는 현재 불필요하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식약처는 그간 덜 짜게 먹도록 나트륨 저감 정책을 펼쳐왔다. 그 결과 2005년 5천257㎎이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2014년 3천890㎎으로 9년 새 26.0% 줄었다.

식약처는 2010~2014년 4년간 나트륨 저감에 따른 사회경제적 편익이 11조7천억에 달한다는 보고서를 내놓기도 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나트륨과 달리 당류는 섭취량이 과잉은 아니지만 증가추세"라며 "예방 차원에서 섭취량을 줄이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해 발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2008~2011년 질병관리본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의 당류 섭취량은 평균적으로는 모든 연령대에서 적정 비율인 '에너지 섭취 적정 비율'(총 에너지 섭취량 대비 해당 당류 섭취의 적정범위) 10~20% 범위에 포함됐다.

하지만 1~2세 19.3%, 3~5세 16.4%, 6~11세 13.9%, 12~18세 13.0% 등으로 나이가 어릴수록 섭취 비율이 높았다. 과도한 당류 섭취는 비만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난 1월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2013년 기준으로 6조8천억원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잔다리로3안길 46(서교동), 국세신문사
  • 대표전화 : 02-323-4145~9
  • 팩스 : 02-323-7451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예름
  • 법인명 : (주)국세신문사
  • 제호 : 日刊 NTN(일간NTN)
  • 등록번호 : 서울 아 01606
  • 등록일 : 2011-05-03
  • 발행일 : 2006-01-20
  • 발행인 : 이한구
  • 편집인 : 이한구
  • 日刊 NTN(일간NTN)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日刊 NTN(일간NTN) .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tn@intn.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