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7 12:25 (토)
“언론, 다주택자 · 건설사 위해 부동산 정책 비판”
“언론, 다주택자 · 건설사 위해 부동산 정책 비판”
  • jcy
  • 승인 2006.04.22 11: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언론재단 주최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언론 보도' 토론회

건설사 분양광고 조선, 동아, 한국, 한겨레 순으로 많아


   
 
  ▲ 21일 일민미술관 미디엑트 대강의실에서 열린 '정부의 부동산정책과 언론보도' 포럼에서 정부의 부동산정책에 대한 언론보도 행태에 대한 토론이 벌어졌다.  
 
“언론은 주거안정이 진짜 서민들에게 필수적이라는 관점에서 정책비판을 해야 합니다. 다주택자나 건설사를 위한 정책비판은 파렴치한 짓입니다”

'정부의 부동산정책과 언론보도’라는 주제로 21일 일민미술관 미디엑트 대강의실에서 열린 기자포럼에서는 언론사 부동산 담당 기자와 언론학자 등 30여 명이 참석해 정부의 부동산정책에 대한 언론의 보도행태를 분석, 비평하는 기회를 가졌다.

한국기자협회·한국언론재단 주최로 열린 이번 포럼은 특히 시민단체나 학계 등 외부자가 아니라 현직 기자가 직접 부동산 보도에 대해 비평의 잣대를 들이댔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자리였다. 언론끼리 서로 감싸고 도는 ‘침묵의 카르텔’을 깨고, 각 언론사의 보도행태를 직설적으로 비판하고 이에 대해 해당 언론사 기자가 직접 해명을 하는 등 언론 상호간 건설적 비판을 위한 단초를 마련했다.

발제자로 나선 서화숙 한국일보 편집위원은 “정부는 집값 안정을 비웃는 언론이 시장을 왜곡시킨다고 비판하고, 언론은 시장을 무시한 정책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고 정부를 비판한다”며 “집값 폭등이 잘못된 정책 때문인지, 아니면 잘못된 언론보도 때문인지 살펴보고자 한다”고 운을 뗐다.

서 위원은 2003년 10·29대책과 지난해 8·31대책, 지난달 8·31 추가대책을 전후한 시기에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국일보, 한겨레 등 4개 신문의 부동산보도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서 위원은 “부동산 보도에 있어 조선과 한겨레가 사설, 평론, 기자의 해설기사 등에서 가장 일관된 논조를 유지한 반면 동아와 한국은 데스크 등 간부진과 현직 기자사이에 논조 차이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서 위원의 분석에 따르면 조선일보의 경우 집값은 절대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기사를 끊임없이 생산하다가 집값이 떨어질 기미를 보이면 경기하락을 우려하는 기사를 내보냈다. 특히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가끔 사실을 왜곡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겨레는 ‘집값 안정’과 ‘부동산투기 근절’이라는 측면에서 정부가 좀 더 적극적인 정책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일관되게 주장했다.

반면 동아일보는 칼럼과 사설에서 정부정책을 비판하지만 차장급 이하 현장 기자들은 정부정책을 긍정하는 기사를 썼다. 특히 지난달 8·31 추가대책 이전까지 집값 하락을 전망하는 기사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집값이 잡히지 않을 것이라는 쪽으로 돌아섰다.

한국일보 역시 강남 수요를 인정하고 정책을 세워야 한다는 의견과 투기성 가수요를 잠재우면 부동산가격이 안정될 것이러는 의견이 혼재돼 있었다.

건설사 분양광고 조선, 동아, 한국, 한겨레 순으로 많아

서 위원은 “전체적으로 정부 정책에 대해 조선이 가장 비판적이고, 그 다음이 동아, 한국, 한겨레 순이었다”며 “놀랍게도 이러한 논조 차이는 부동산광고와 연관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 3월 한 달간 4개 신문 본면에 실린 광고를 분석한 결과 조선이 건설사, 분양광고 등 부동산광고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동아, 한국, 한겨레 순이었다는 것이다.

서 위원은 “언론이 정부정책을 비판하기 위해 최대 피해자로 모호한 개념의 ‘서민’을 끌어들이곤 한다”며 “세금부담이 너무 크고, 시장에 맡겨 공급을 늘리라는 일부 언론의 주장은 정확하게 1가구 다주택자와 건설업체의 입장을 반영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대부분 언론이 집을 재테크의 수단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는데, 주거안정이야말로 진짜 서민들에게 필수적이라는 관점에서 정책을 비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곧이어 이어진 토론에서 박원갑 중앙일보 기자는 “인터넷매체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예전처럼 신문이 부동산시장을 좌지우지하는 시대는 갔다”며 “최근의 집값 상승은 풍부한 시중 유동성, 2차 베이붐세대의 주택구매 수요 등 여러 경제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기 때문에 언론에 전적으로 책임을 물리는 것은 무리”라고 말했다.

유하룡 조선일보 기자는 “참여정부는 시장과 언론에 대해 항상 대결적 관점을 갖고 있다”며 “정책 결정 전에 언론 등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시장에서 드러난 정책의 부작용을 억누리지 말고 이를 정책에 다시 반영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창원 MBN 기자는 “이미 주택보급률 100%를 넘은 상황에서 ‘서민들의 내집 마련’이라는 정책 목표가 바람직한지 의심스럽다”며 “많은 사람들이 집을 가장 효과적인 재테크 수단으로 여기는 것이 사실이라면 신문도 이런 독자들의 욕구를 반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최종훈 한겨레 기자는 “외국과 비교해 우리나라는 부동산 관련 정책과 언론보도가 지나치게 많다”며 “부동산시장이 언론보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점을 감안해 언론에서 특정 지역, 아파트 이름을 직접 거론하는 것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황희연 충북대 교수는 "부동산가격 상승은 각종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국가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며 "언론사간 논조의 차이는 당연하겠지만 부동산 관련 보도만큼은 가격 안정에 대한 공감대를 갖고 보다 신중하고 책임있는 보도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잔다리로3안길 46(서교동), 국세신문사
  • 대표전화 : 02-323-4145~9
  • 팩스 : 02-323-7451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예름
  • 법인명 : (주)국세신문사
  • 제호 : 日刊 NTN(일간NTN)
  • 등록번호 : 서울 아 01606
  • 등록일 : 2011-05-03
  • 발행일 : 2006-01-20
  • 발행인 : 이한구
  • 편집인 : 이한구
  • 日刊 NTN(일간NTN)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日刊 NTN(일간NTN) .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tn@intn.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