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7 12:25 (토)
회사채 신용등급 A급 이상 쏠림 현상 심화
회사채 신용등급 A급 이상 쏠림 현상 심화
  • 日刊 NTN
  • 승인 2014.06.19 06: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평사 중징계로 '등급 인플레' 사라질 듯
포스코 등급 강등은 등급 연쇄 조정 신호탄

회사채 신용등급의 양극화가 이어지는 가운데 투자등급 내에서 A등급 이상의 비중이 점점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금융당국의 검사 결과 부적절한 등급 평가를 한 신용평가사들에 중징계가 내려질 것으로 보여 고질적인 등급 인플레이션 현상이 사라질지 주목된다.

19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말 기준 투자등급(BBB- 이상)을 받은 회사채는 335개로 전체의 89.8%를 차지했다.

투기등급(BB+ 이하)의 회사채는 38개(10.2%)였다. 투자등급과 투기등급의 비율은 지난해 말과 같았다.

비율은 변동이 없었지만 투자등급 내에서 A급 이상으로 쏠림 현상이 심해졌다.

A급의 비중은 올해 초 30.8%에서 1분기 말 31.5%로 늘었다.

같은 기간 AA급(33.5%→33.9%)과 AAA급(16.1%→16.4%)의 비중도 증가했다.

이에 따라 A급 이상의 비중은 연초 80.4%에서 1분기 말 81.7%로 1.3%포인트 올랐다.

반면 BBB급의 비중은 9.4%에서 8.1%로 줄었다.

나이스신용평가가 등급을 매긴 회사채의 상황도 비슷했다.

1분기 말 기준으로 투기등급 비율은 88.9%로 올해 초(88.3%)보다 0.6%포인트 늘었고 투기등급은 11.7%에서 11.1%로 줄었다.
A등급 이상의 회사채 비율(78.4%)로 80%에 육박했다.

국내 기업들의 등급 인플레 현상은 국제 신용평가사들의 등급 평가와 비교하면 더욱 확연히 드러난다.

무디스가 등급을 준 4800개 기업 가운데 A급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30%가 안 된다. BBB∼B등급의 전체 비중은 60%가 넘어 국내 기업 등급과는 차이를 보인다.

국내 신평사들이 후한 등급을 매기는 것은 계열의 지원 가능성과 관련한 긍정적인 면만 보고 부정적 효과를 등한시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실제로 KT ENS는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기 직전에 'A등급'(안정적)을 받았지만 이는 모기업의 지원 가능성을 고려한 등급이었다.

KT ENS가 KT의 지원을 받지 못해 법정관리를 신청하자 현재의 등급 체제가 기업 신용과 관련해 적절한 정보를 주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기업들이 회사채를 발행하려면 신용평가사 3곳 가운데 2곳의 등급만 받으면 되는 구조 속에서 신용평가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

기업이 신평사에 비용을 주고 등급을 받는 상황이라 기업이 오히려 '등급 쇼핑'에 나선다는 것이다.

신평사가 기업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어 등급 발표 시기를 기업에 유리하게 조절하거나 등급을 올려주는 사례가 있다는 얘기마저 떠돌았다.

이 같은 관행은 지난해 '동양 사태' 이후 금융감독원이 실시한 신평사 검사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이에 신평사 3곳(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나이스신용평가)의 임직원들에게 징계 수위(중징계·경징계)를 통보하고 소명을 듣기로 했다. 신평사의 징계는 7월 초에 있을 제재심의위원회에서 결정된다.

신평사에 대한 징계를 계기로 기업과 신평사 사이의 잘못된 관행이 끊어질지는 미지수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기업 평가를 하는 직원이 영업까지 떠맡는 구조가 바뀌지 않는 한 기업과 신평사 사이의 유착 관계는 쉽게 사라지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최근 포스코[005490]가 20년 만에 처음으로 AAA등급을 상실한 것이 등급 인플레가 누그러지는 신호탄으로 볼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김익상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그동안 최고 등급 지위를 누린 포스코의 신용등급이 내려갔다는 것은 다른 업종이나 기업들도 각오하라는 압박으로 봐야 할 것"이라며 "안 좋은 실적에 맞지 않게 높은 등급을 받은 기업들의 등급 조정이 연쇄적으로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잔다리로3안길 46(서교동), 국세신문사
  • 대표전화 : 02-323-4145~9
  • 팩스 : 02-323-7451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예름
  • 법인명 : (주)국세신문사
  • 제호 : 日刊 NTN(일간NTN)
  • 등록번호 : 서울 아 01606
  • 등록일 : 2011-05-03
  • 발행일 : 2006-01-20
  • 발행인 : 이한구
  • 편집인 : 이한구
  • 日刊 NTN(일간NTN)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日刊 NTN(일간NTN) .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tn@intn.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