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A법인이 중국 자회사로부터 배당금을 받으면서 납부한 배당소득세를 줄여줘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중국의 배당소득세율은 10%이지만 한・중조세조약에 따라 한국 기업이 중국 자회사로부터 받은 배당금의 세율을 제한하는 혜택에 따라 5%만 냈지만 외국납부세액공제는 원래 세율 10%를 기준으로 주어져야 한다는 판결이다.
대법원3부(주심 김재형 대법관)는 지난 3월13일 A법인이 국세청에 낸 법인세 경정거부 취소 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패소로 판결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원고 승소 취지로 서울고등법원에 돌려보냈다.
대법원은 판결에서 “중국에 납부한 것으로 간주하는 10% 세액과 중국에 실제 납부한 5%의 차액도 한국내 세액공제 대상에 해당한다고 봐야 한다”면서 A법인의 손을 들어줬다.
대법원은 또 “중국 세법에 관련 규정이 따로 있을 때만 공제가 가능하다고 본 원심판결은 관련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있다”면서 2심 법원이 재판을 다시하라고 돌려 보냈다.
A법인은 지난 2010년 중국 자회사로부터 배당금 540억원을 받고 중국 국세청에 5% 세율로 계산한 배당소득세27억원을 냈다. 원래 중국의 배당소득세율은 10%이지만 한・중조세조약에 따라 5%만 낸 것이다.
A법인은 그 뒤 “5% 배당소득세를 내긴 했지만 당초 중국 국세청에 내야 할 배당소득세율이 10%이므로, 한국에 납부할 법인세에서는 10%를 공제해야 한다”고 법인 관할 남대문세무서에 신청했다.
남대문세무서는 그러나 “중국 세법에 한국 기업의 배당소득 감면에 관한 규정이 나와 있지 않으므로 5% 넘게 공제해 줄 수 없다”며 A법인의 신청을 거절했다.
A법인은 이에 따라 소송을 제기했고, 1~2심 법원은 남대문세무서의 손을 들어줬다.
하지만 대법원은 중국 세법에 따로 관련 규정이 없어도 양국 조세조약에 따라 혜택을 받은 조세조약과 실제 중국 배당소득세율의 차이도 한국에 납부할 법인세에서 공제돼야 한다고 판시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