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18:37 (금)
4대그룹 부가가치 140조원 창출, GDP의 10% 차지
4대그룹 부가가치 140조원 창출, GDP의 10% 차지
  • 日刊 NTN
  • 승인 2014.09.17 08: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 4.7%·현대차 2.6%…경제력 쏠림 심화

삼성·현대차·SK·LG등 4대 그룹이 지난해 창출한 부가가치총액은 140조2천억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10% 수준에 달했다. 4대 그룹이 국내 경제 성장의 10%를 담당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이들 4대 그룹을 뺀 나머지 500대 기업의 부가가치 총액은 전년보다 13.5%나 감소해 경제력 쏠림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CEO스코어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 상위 500대 기업중 보험·증권사를 제외하고 금융감독원에 감사보고서를 제출하는 425개사의 부가가치 창출액을 조사한 결과 총 254조16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해 GDP 1440조원(작년말 기준)의 17.6%에 달하는 규모다.

전년보다는 경기부진 탓에 이익이 20조원 줄고 인건비와 금융비용 부담은 15조원 더해져 부가가치 창출액이 4.8% 감소했다.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8.7%에서 1.1%포인트 소폭 낮아졌다.

인건비가 115조원(45.3%)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과 감가상각비가 각각 27.6%와 24.6%였다.

그룹별로는 500대 기업에 속한 삼성그룹 19개 계열사의 부가가치 창출액이 68조3천7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4.7%에 달했다.

현대차그룹(18개 기업)의 부가가치액은 37조6천400억원으로 GDP에서 2.6%의 비중을 차지했다. LG(14개)와 SK그룹(19개)의 부가가치액은 각각 19조3500억원과 14조8800억원이었다.

이들 4대 그룹이 창출한 부가가치는 총 140조2천억원으로 GDP의 9.7%를 차지했다. 2012년의 부가가치 총액에 비해 3.7% 증가했고 500대 기업 내 비중도 50.7%에서 55.2%로 높아졌다.

이들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의 부가가치는 113조9천억원으로 전년보다13.5% 줄었다.

4대 그룹에 이어 포스코(11개·7조9천억원), 롯데(16개·7조5천억원), KT(5개· 6조1천억원), 현대중공업(6개·4조6천억원), GS(8개·3조4천억원), CJ(8개·2조8천억원) 순이었다.

재계 10위권의 한진(3개·2조6천억원)과 한화(6개·1조9천억원)는 KT와 CJ에 자리를 내주며 11위, 13위로 내려앉았다.

이밖에 신세계(3개·2조5천억원), 금호아시아나(5개·1조8천600억원), 두산(4개·1조8천억원), 대우조선해양(1개·1조8천억원), LS(8개·1조4천억원), 현대백화점(3개·1조2천억원), 영풍(3개·1조1천600억원), 에쓰오일(1개·1조700억원), 대림(2개·1조200억원)도 1조원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했다.

반면 현대그룹은 현대상선, 현대엘리베이터, 현대로지스틱스 등 주력 계열사들이 모두 적자를 내며 유일하게 9천억원의 마이너스 부가가치를 기록했다. 동부그룹도 부가가치 창출이 200억원으로 미미했다.

기업별로는 삼성전자의 부가가치 창출액이 45조원으로 가장 많았다. 삼성전자의 GDP비중도 3.1%에 달했다. 현대차가 15조9천억원으로 그다음이었고 이어 삼성디스플레이(9조6천억원), 기아자동차(8조원), SK하이닉스(6조8천억원), LG디스플레이(6조600억원), 포스코(5조5천억원), KT(5조3천억원) 순이었다.

대기업 그룹 계열에 속하지 않은 기업 중에서는 국민은행이 4조800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신한은행(3조7천억원), 한국전력공사(3조3천700억원), 한국GM(2조6천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은행, 우리은행, 농협도 2조원 이상의 부가가치를 기록했다.

반면 STX·팬택·현대상선 등 34곳은 부가가치액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들 기업의 부가가치는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에 인건비, 감가상각비, 순금융비용, 임차료, 조세공과(법인세 제외) 등 감사보고서를 통해 알 수 있는 내용만을 집계해 실제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CEO스코어는 부연 설명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잔다리로3안길 46(서교동), 국세신문사
  • 대표전화 : 02-323-4145~9
  • 팩스 : 02-323-7451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예름
  • 법인명 : (주)국세신문사
  • 제호 : 日刊 NTN(일간NTN)
  • 등록번호 : 서울 아 01606
  • 등록일 : 2011-05-03
  • 발행일 : 2006-01-20
  • 발행인 : 이한구
  • 편집인 : 이한구
  • 日刊 NTN(일간NTN)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日刊 NTN(일간NTN) .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tn@intn.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