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공단 4800명 설문결과...남성 대부분 노후준비는 '본인'
우리나라의 50대 이상 중고령자들은 은퇴하면 일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없어 좋기는 하지만 쓸 돈이 부족해 힘들어 한다.
2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2015년 4~9월 중고령자 4816명을 대상으로 은퇴·노후준비 등에 관해 실시한 국민노후보장패널 6차년도 조사에서 이런 조사결과가 나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은퇴 전과 비교해 은퇴 후에 좋아진 점으로 가장 많이 꼽힌 것은 '일에서 오는 스트레스로부터의 자유로움'(32.2%)이었다.
반대로 은퇴 후에 나빠진 점으로는 절반 가까이(46.3%)가 '경제적 어려움'을 들었다. 뒤를 이어 11.9%는 '할 일 없이 시간을 보내는 것'이라고 답한 반면 '나빠진 것이 없다'는 응답은 20.9%에 달했다.
은퇴자의 약 56%는 비자발적으로 은퇴한 것으로 조사됐다. 은퇴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으로는 '고령·질병 등으로 인한 건강 악화'(36.1%)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노후대책을 마련할 담당 주체에 대해 남성 대부분(81.3%)은 본인이라고 했지만, 여성은 배우자(39.1%), 본인(40.0%)이라는 답해 남성과 대조를 이뤘다.
개인적으로 노후대책을 세울 때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로는 경제적 문제(53.3%)를 꼽았다. 사회적 차원의 노후대책 중 최우선으로 꼽힌 것은 건강·의료 문제(44.3%)였다.
한편 응답자들이 노후의 시작으로 인식하는 연령의 평균치는 67세로 조사돼 현재의 노인 연령 기준(65세)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저작권자 © 日刊 NTN(일간N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유덕 기자
guca6468@hanmail.net
다른기사 보기